Spring Annotation 정리

Annotation 이란 ?

  • Anootation은 사전적 의미로 주석이라는 뜻이다. 자바에서 Annotation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이며 특별한 의미,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기술이다. 즉,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 라고 볼 수 있다.
  • Annotation의 사용순서는 다음과 같다.
    1. 어노테이션을 정의한다.
    2.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배치한다.
    3. 코드실행 중 Reflection을 이용하여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기능을 실행한다.

Reflection 이란?

  • Reflection이란 프로그램 실행 중 자신의 구조와 동작을 검사,조사, 수정하는 것이다.

  • Reflection은 프로그래머가 데이터를 보여주고, 다른 포맷의 데이터를 처리,통신하기 위해 serialization(직렬화)를 수행하고, bundling하기 위해 일반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만들도록 도와준다.

  •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eflection을 사용하면 컴파일 타임에 인터페이스, 필드, 메소드의 이름을 몰라도 실행 중 접근할 수 있다.

  • Java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eflection을 사용해 멤버 접근 가능성 규칙을 무시할 수 있다. ex) reflection을 사용하면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의 클래스에서 private 필드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.

  • Spring에서 BeanFactory라는 Container에서 객체가 호출되면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고 이 때 필요하게 된다. 즉, 프레임워크에서 유연성있는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.

  • Reflection을 이용하면 Annotation의 적용 여부와 엘리먼트 값을 읽고 처리할 수 있다.

  • 다음 메소드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
  • Class.forName(), getName(), getModifier(), getFields(), getPackage()등..

  • Reflection을 이용하면 Annotation지정만으로도 원하는 클래스를 주입할 수 있다.

    //Without reflection
    Foo foo = new Foo();
    foo.hello();
    
    //With Reflection
    Object foo = Class.forName("complete.classpath.and.Foo").newInstance();
    //Alternatively: Object foo = Foo.class.newInstance();
    Method m = foo.getClass().getDeclaredMethod("hello", **new** Class<?>[0]);
    m.invoke(foo);

Annotation 종류

  • Component

    • @Component은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Annotation이다.

    • @Component
      public class Student{
        public Student() {
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hi");
        }
      }
      
      @Component(value="mystudent")
      public class Student{
        public Student() {
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hi");
        }
      }
    • Component에 대한 추가 정보가 없으면 class의 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 것이 Bean ID로 사용된다.

    • 하지만 @Bean 과 다르게 @Component 는 name 이 아닌 value를 이용해 Bean의 이름을 지정한다.

  • Autowired

    • @Autowired는 type에 따라 알아서 Bean을 주입한다. 한 객체에 대하여 의존성을 주입할 때 사용된다.

    • 스프링이 자동적으로 값을 할당하며 DAO나 Service에 관한 객체들을 주입 시킬 때 많이 사용한다.

    • 만약 필드, 생성자, 입력 파라미터가 여러개인 메소드일 경우 @Qualifier를 활용해 적용할 수 있다.

    • 만약 Autowired를 interface class에 사용했고 그 interface class를 상속받은 class가 여러개일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음과같이 @Qualifier를 같이 명시해줘야한다.

      @Component("tv9")
      public class ssTV09 implements iTV
      {
        @Autowired //단일로 사용될 경우 여러개의 스피커가 존재하기 때문에 오류 발생.
        @Qualifier("enc") // encSpeaker를 사용하기위해 명시.
        private iSpeaker05 speaker;
      
        public ssTV09(iSpeaker05 speaker)
        {
          ...
        }
      }
  • Controller

    • Spring의 Controller를 의미한다. Spring MVC에서 Controller class에 쓰인다.

    • @Controller Annotation을 붙이면 핸들러가 스캔할 수 있는 Bean객체가 되 서블릿용 컨테이너에 생성된다. 마찬가지로 @Repository, @Service Annotation은 해당 class를 루트 컨테이너에 Bean객체로 생성해주는 Annotation이다.

    • 컨트롤러 : @Controller (프레젠테이션 레이어, 웹 요청과 응답을 처리)

    • 로직 처리 : @Service (서비스 레이어, 내부에서 자바 로직을 처리)

    • 외부I/O 처리 : @Repository (퍼시스턴스 레이어, DB나 파일같은 외부 I/O 작업을 처리)

    • 참고로 객체 내에서 데이터 변경 작업이 있는 VO(DTO) 객체와 같은 경우 동기화 문제로 인해 Bean객체로 사용하지 않는다. Bean 객체는 항상 데이터 변경이 없는 객체에 한해 사용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.

    • 연관지어 @WebServlet과 @Controller 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.

      • WebServlet과 Spring MVC Controller는 같은 일을 하는데 사용된다.

      • WebServlet은 서블릿을 선언할 때 사용되는 Annotation이며 이 Annotation이 사용된 클래스는 Servlet Container에 의해 처리된다. 사용시 속성 값을 통해 해당 Servlet과 매핑될 URL패턴을 지정한다.

      • @Target(value=TYPE)
        @Retention(value=RUNTIME)
        @Documented
        public @interface WebServlet
      • Controller는 @Component의 구체화된 역할을 한다. classpath scanning을 통해 구현 클래스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. 일반적으로 RequestMapping Annotation을 기반으로 한 handler method와 함께 사용한다.

      • @Target(value=TYPE)
        @Retention(value=RUNTIME)
        @Documented
        @Component
        public @interface Controller
  • Repository, Service

    • @Repository는 간단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method를 가진 class에 사용된다.

    • @Repository("userDAO")
      public class UserDAO {
          ...
      }
    • 다음과같이 DAO클래스를 명시해주면 루트 컨테이너에 Bean 객체로 생성되고 이 "userDAO"는 new를 이용해 생성하는게 아닌 컨테이너에서 받아와야 한다. 루트컨테이너는 어디서든 공유가능하기 때문에, 다음과같은 의존성 주입(DI)(@Resource, @Inject, @Autowired) Annotation을 이용해 객체를 받아올 수 있다.

    • Annotation들은 같은 Bean 객체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Bean으로 만들지 않은 일반 클래스에서는 사용해봤자 아무 소용 없다. 하지만 일부 DTO객체 등 데이터 변경 작업을 동반하는 클래스 외, 로직을 가진 클래스들은 대부분 @Service Annotation을 통해 Bean객체로 등록해주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진 않는다.

    • 즉 @Repository는 DB접근과 관련된 코드가 모여있는 곳이고, @Service는 패키지를 확인하고 DB접근 외에 비즈니스 로직관련 코드가 모여있는 곳이라 생각하면 된다.

Reference

- 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77417 (Repository, Service 차이)

'Spring,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pring Web Layer  (0) 2023.01.12
Spring MVC 동작과정  (0) 2023.01.11
SOLID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  (0) 2022.05.13
Spring AOP 정리  (0) 2022.01.01

+ Recent posts